종정 법어

사단법인 한국불교조계종 제3대 종정
설국 무명 대종사

취임전 부촉기념 설법



“업의 그릇을 비워라”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방대해서 8만 4천 가지나 된다.
불자들은 이 많은 경전들을 찾을 수도 없고 읽어볼 수도 없다.
모든 경전의 가르침들은 인간이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결국 죽음을 맞게 되는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어떻게 하면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부처님이 이 많은 경을 직접 설한 것도 아니다. 그중에는 제자들이 하신 말씀도 있고 누대에 걸쳐서 많은 선지식들이 집대성한 것들도 있다. 경전은 인간의 고뇌, 외로움, 분노, 행복 등 진리의 말씀들로 가득하다.
그중 하나가 《백유경(百喩經)》이다. 5세기경 인도의 승려인 상가세나[僧伽斯那) 스님이 쓴 《샤타바다나수트라》를 그의 제자인 구나브리티가 한역(漢譯)하여 백유경 이라고 이름 지었는데 재미있는 설화와 비유 등 아흔여덟 가지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고대 인도에서는 불교에 반하는 외도(外道)들이 많았다. 그러다보니 민중들은 불교에 대해서 많은 의문을 품고 있었다. 상가세나 스님은 적절한 비유를 통해 민중들에게 쉽게 불교 사상을 이해시키고 삶의 교훈을 주기 위해 백유경을 지었던 것 같다. 오늘날에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재미있게 읽히고 있는 경전이다.
그중 우화 한 토막을 소개하겠다.
한 바라문이 있었다. 그는 제자에게 잔치에 쓸 그릇이 부족하니 옹기를 만들 장수를 데려오라고 했다. 제자는 마을로 가는 도중, 나귀 등에 옹기를 싣고 가는 장수를 만났다. 그 순간 나귀가 발을 헛디뎌 옹기들이 땅에 떨어져서 모두 깨지고 말았다. 옹기장수는 어쩔 줄을 몰랐다.
이것을 본 제자가 옹기장수에게 물었다.
"그대는 왜 그리 슬피 울고 있습니까?"
“그동안 고생하면서 옹기를 만들었습니다. 오늘 장에 가서 팔려고 했는데 이놈의 나귀가 그만 발을 헛디뎌 모두 깨뜨려 버렸으니 허망해서 울고 있습니다.”
제자는 그 말을 듣고는 엉뚱한 생각을 했다. 옹기장수가 오랜 시간을 들여 정성을 다해 만든 많은 그릇들을 단 한순간에 깨뜨려 버렸으니 이 나귀야말로 훌륭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이다.
"옹기장수여 울지 마세요. 당신의 나귀는 훌륭한 짐승입니다.
당신이 오랜 시간 만든 옹기를 찰나에 모두 깨뜨려버렸으니 나귀야말로 훌륭하지 않습니까? 옹기 대신에 그 나귀를 제가 사겠습니다.”
옹기장수는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했다. 제자는 옹기장수를 데려오라는 스승의 말은 까마득하게 잊고 나귀를 끌고 절로 돌아왔다.
그를 본 스승이 제자에게 물었다.
"이놈아, 옹기 장수는 데려오지 않고 웬 나귀를 끌고 왔느냐?"
“스승님, 이 나귀는 옹기장수보다도 더 뛰어납니다. 옹기장수가 만든 옹기를 한순간에 모두 깨뜨려버릴 정도로 힘이 세니까요.”
스승은 혀를 끌끌 차면서 야단을 쳤다.
“이 미련한 놈아. 나귀는 미련하고 어리석어서 옹기를 깨뜨리는 일은 잘할지 모르나 옹기를 만들 수 있는 재주나 지혜가 없으니 100년이 걸려도 옹기 하나 만들지 못하는 짐승에 불과하지 않느냐.”
어리석은 제자는 그때 비로소 깨달았다.
머리가 좋아서 출세하는 사람도 있지만 좋은 머리를 잘못 써서 한순간에 나락에 떨어지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눈앞의 것만 생각하고 내일을 생각하지 않는 어리석음 때문이다. 불가에서는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 중 가장 큰 업이 어리석을 치라 했다.
진리에 어두운 번뇌라고 해서 '치암(癡闇)이라고도 부르며 문안에 갇혀서 전혀 소리를 듣지 못함을 일컫는다. 남에게 욕을 하는것, 주먹을 휘두르는 것, 거짓말을 하는 것, 사기를 치는 것, 사음을 하는 것도 모두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행하는 어리석음이 원인이다. 그러므로 업은 자신이 지고 가야 할 평생의 짐이다.
업은 크게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으로 나뉜다. 그런데 알고 저지르는 업보다 모르고 저지르는 업이 더 무섭다. 왜 그럴까. 알고 저지르는 업은 참회하여 고칠 수 있지만 모르고 업을 저지를 땐 자신이 한 일이 나쁜 짓인지 좋은 짓인지조차 판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나중에 더 큰 악업을 짓는다.
제자가 그런 경우인데 무지로 인해서 악업을 행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탐진치 삼독 중 가장 큰 업을 어리석음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어리석음은 수행자들이 성불을 이루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바른길인지 잘못된 길인지 빨리 판단해야 하는데 이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게 한다.
부처님께서 어리석음인 무명과 치암을 가장 경계하라고 하셨던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당신은 지금 어리석지 않은가. 업의 그릇을 빨리 비우지 못하면 결국 어둠 속에서 헤맬 수밖에 없다.



제3대 종정 설국 무명 대종사
■무명선사 수행이력

.부산 금정산 회룡선원에서 출가
.무명사 회주
.회룡선원 선원장
.무명사불교대학 학장
.고헌산 불교성지 조성 추진위원장
.국제구호단체 <세계일화> 회장
.동국대 불교문화대학원 동림회 수석부회장 역임
.무명스님지구촌행복재단 이사장
.불교청소년인재개발원 원장
.종교세계신문사 고문
.BTN불교TV ‘그대 알겠는가?’ 정기법문 진행

■저서
.무명큰스님의 선 이야기 <허공 가득 연꽃 피우다>
.<업의 그릇을 비워라>
.365일 마음공부
.신비의 도량 무명사

■포교명상음반
<우주가 열어준 만남> 제작